발트 군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트 군관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 7월 소련에 의해 창설되어 발트 3국과 칼리닌주 서부 지역을 관할했다. 1941년 독일의 침공으로 해체되었고, 이후 1943년과 1945년에 각각 서류상, 냉전 시기에 재설치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발트 3국과 칼리닌그라드주를 관할했으며, 1991년 북서부군으로 개편된 후 1994년 러시아군의 발트 3국 철수와 함께 해체되었다. 1998년 러시아는 라트비아의 레이더 기지를 폐쇄하며 발트 지역에서의 군사 주둔을 종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스토니아의 군사사 - 에스토니아 군단
에스토니아 군단은 1942년 독일 점령 하 에스토니아에서 창설되어 지원병으로 시작, 1944년 징집령으로 확대되었고, 나르바 대대는 우크라이나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이후 핀란드 연대와 통합되어 사단으로 재편성되고, 의용병 여단도 편성되었다.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발트 함대
발트 함대는 1703년 표트르 1세가 창설한 러시아 해군의 주요 함대로, 대북방 전쟁부터 냉전 시대까지 발트해 지역 안보와 러시아 해상 전력을 담당하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겪었고, 소련 붕괴 후 칼리닌그라드를 중심으로 재편되어 현재 러시아 서부 군관구에 속해 발트해 방어와 지역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에스토니아 공산당
에스토니아 공산당은 1920년 소련 공산당의 에스토니아 지부에서 분리되어 창당되었으며, 1924년 쿠데타 시도 실패 이후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고, 1940년 소련에 흡수되었다가 1990년 분열되었다.
발트 군관구 | |
---|---|
발트 군관구 | |
![]() | |
활동 기간 | 1940년 7월 11일 ~ 1941년 6월 22일 |
국가 | 소비에트 연방 |
종류 | 군관구 |
본부 | 리가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주요 지휘관 |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발트 군관구는 두 차례에 걸쳐 창설과 해체를 경험했다. 첫 번째 창설은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직후인 1940년에 이루어졌으나, 독소전쟁 발발과 함께 북서방면군으로 개편되며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후 독일 점령 하에 있던 1943년 서류상으로 재창설되었으나 실질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고 1944년 다시 해체되었다.
2. 1. 제1차 창설(1940-1941)
발트 군관구는 1940년 7월 11일 소련 국방인민위원의 명령에 따라 처음 창설되었으며, 대장 알렉산드르 록티오노프가 초대 사령관을 맡았다. 이는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이후였으나, 이들 국가가 공식적으로 소련에 병합되기 전이었다. 군관구 본부는 8월 13일 리가에 설치되었으며, 이는 해체된 칼리닌 군관구의 본부를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초기 관할 지역은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 그리고 칼리닌주 서부였다.1940년 8월 17일, 군관구는 발트 특별군관구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관할 지역도 에스토니아를 포함한 발트 3국 전체로 확대되었다. 기존에 관할하던 칼리닌주 서부는 모스크바 군관구로 이관되었다. 이 군관구의 주요 임무는 소련 북서부 국경의 방어를 강화하고, 독일이 통제하던 동프로이센으로부터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로 향하는 주요 접근로를 보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군관구 소속 군대는 발트 함대와 긴밀히 협력했다.
같은 해 8월에는 제8군과 제11군이 군관구에 배속되었고, 9월에는 기존의 에스토니아군, 라트비아군, 리투아니아군이 각각 붉은 군대의 제22, 제24, 제29 영토보병군단으로 개편되어 편입되었다. 그러나 이들 발트 3국의 병사들로 구성된 부대들은 소련에 대한 충성도가 낮아 신뢰성이 매우 떨어졌으며, 1941년 6월 독소전쟁 발발 이후 상당수가 독일 측으로 투항했다.[1]
1940년과 1941년에 걸쳐 군관구는 제3기계화군단과 제12기계화군단을 포함한 새로운 기계화 부대들과 지역 군사위원부 등을 창설하며 전력을 증강했다. 1940년 12월에는 사령관이 록티오노프에서 중장 표도르 쿠즈네초프로 교체되었다. 1941년 5월에는 제27군 본부가 창설되었고, 군관구 본부는 독일의 예상되는 침공에 대비한 작전 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6월 18일에는 예하 부대에 전투태세 돌입 명령이 내려졌으나, 바르바로사 작전이 개시된 6월 22일까지도 새로 창설된 부대들의 병력 충원은 완료되지 못한 상태였다.
독소전쟁 발발 당시 발트 특별군관구의 주요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
부대 종류 | 부대명 |
---|---|
야전군 | 제8군 |
야전군 | 제11군 |
야전군 | 제27군 |
군단 | 제5공수군단 |
군단 | 제3기계화군단 (빌뉴스 주둔) |
군단 | 제12기계화군단 |
기타 | 6개 요새 지대, 소규모 부대 및 부서[2] |
군관구의 공군력은 제4, 제6, 제7, 제8, 제57 혼성항공사단과 2개의 독립 연대, 그리고 제5공수군단 수송 임무를 위해 편성 중이던 1개 수송 연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체적으로 1941년 6월 22일 기준, 발트 특별군관구는 총 25개 사단(보병 19개, 기갑 4개, 기계화 2개)과 1개 보병여단, 그리고 3개의 영토보병군단(각 2개 사단 규모)을 보유하고 있었다.[3]
군관구의 방어 계획에 따르면 제8군, 제11군, 제27군은 발트 함대와 협력하여 합살루에서 팔랑가에 이르는 해안선과 동프로이센과의 국경 약 300km를 방어할 예정이었다.
1941년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되자, 발트 특별군관구 본부는 즉시 북서방면군 본부로 전환되어 독일군의 침공에 맞섰다. 군관구 본부의 일부 인원은 군관구 부사령관의 지휘 하에 리가에 남았으나, 전황이 악화됨에 따라 7월 1일 발가로, 이후 노브고로드로 철수하여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
2. 2. 제2차 창설(서류상, 1943-1944)
발트 군관구는 1943년 10월 30일 적군 총참모부의 지시에 따라 두 번째로 창설되었다. 하지만 이때 군관구가 담당해야 할 영토인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등 발트 3국 지역은 여전히 독일군에게 점령된 상태였다. 즉,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군관구였다. 군관구 본부는 니콜라이 비야지 소장의 지휘 아래 비시니볼로초크에서 제58군 본부를 기반으로 설치되었다. 이 군관구는 1944년 3월 23일에 해체되었고, 그 본부 조직은 오데사 군관구의 본부를 창설하는 데 활용되었다.3. 냉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트 군관구는 1945년 7월 9일 리가에서 제1발트전선의 잠란트군을 기반으로 세 번째로 창설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이반 바그라먄 육군 장군으로, 1954년까지 지휘를 맡았다. 초기 군관구는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 영토만을 포함했다.
이후 관할 구역은 확장되었다. 1946년 3월 1일에는 칼리닌그라드주(구 동프로이센)가 편입되었고, 1956년 1월에는 에스토니아 영토가 레닌그라드 군관구로부터 이관되어 발트 3국 전체와 칼리닌그라드주를 관할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칼리닌그라드 지역의 특별군관구 본부는 제11근위군 본부로 재편되었다.
군관구 내에는 정규군 외에도 1944년경부터 내무군 본부(Управление ВВ НКВД-МВД-МГБ Прибалтийского округаrus)가 운영되어 여러 내무군 사단을 관할했다.[4] 군관구의 주요 전투 부대는 칼리닌그라드주에 주둔한 제11근위군이었으며, 냉전 기간 동안 부대 구성은 여러 차례 개편과 이동을 겪었다. 예를 들어 1969년에는 제8근위차량화보병사단이 중앙아시아 군관구로 이동했다.
1979년 당시 군관구 본부는 리가 중심부의 메르켈랴 거리 13번지에 위치했다.[7]
3. 1. 군사력 증강 및 변화
전후 발트 군관구는 1945년 7월 9일 리가에서 제1발트전선에서 개편된 잠란트군을 기반으로 다시 창설되었으며, 초기에는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만을 관할했다. 1946년 2월 27일 칼리닌그라드주(구 동프로이센)를 관할하던 특별군관구가 해체되면서 3월 1일부터 이 지역이 발트 군관구의 관할로 편입되었고, 특별군관구 본부는 제11근위군 본부로 재편되었다. 이후 1956년 1월에는 에스토니아 영토가 레닌그라드 군관구에서 이관되어 발트 군관구에 포함되었다.1944년경부터 이 지역에는 내무군 본부가 설치되어 발트 군관구 내무인민위원부-내무부-국가보안부 내무군 본부(Управление ВВ НКВД-МВД-МГБ Прибалтийского округаrus)로 운영되었다. 이 본부는 여러 내무군 사단을 관할했는데, 1944년부터 1951년까지 제14철도시설보호사단 내무인민위원부가 여기에 속했으며, 제4, 제5, 제63내무인민위원부 보병사단 등도 배치되었다.[4]
군관구 내 주요 전투부대는 칼리닌그라드주에 주둔한 제11근위군이었다. 한편, 제10근위군은 1948년 4월 30일 제4근위보병군단으로 개편되었다.
1955년 당시 발트 군관구의 군대는 다음과 같은 주요 부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5]
- 제11근위군
- 제2근위보병군단
- 제4근위보병군단
- 제1근위보병사단
- 제5근위보병사단
- 제16근위보병사단
- 제26근위보병사단
- 제28보병사단
- 제42보병사단
- 제1전차사단
- 제28근위기계화사단
- 제29근위기계화사단
- 제30근위기계화사단
- 제15근위공수군단 (예하: 제76근위강습사단, 제104근위공수사단)
1955년 당시 제4근위보병군단은 에스토니아 지역에 주둔하며 제8근위보병사단(하프살루), 제118근위보병사단(탈린), 제36근위기계화사단(클로가), 제2기관총포병사단(사레마 섬)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1956년 7월 제118근위보병사단은 해체되었다.[6]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부대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 전후 기간 동안 제11근위군은 제40근위전차사단, 제1전차사단, 제1근위차량화보병사단, 제26근위차량화보병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1960년에는 제5근위차량화보병사단이 해체되었다. 또한 에스토니아 지역이 레닌그라드 군관구로 이관되면서 제2근위 '타친' 전차사단도 함께 이관되었고, 군관구에는 칼리닌그라드의 제1 '인스테르부르크' 전차사단만 남게 되었다. 1960년 3월 10일에는 제51근위차량화보병비테프스크사단이 해체되고, 그 병력은 제29근위로켓사단 창설에 사용되었다. 1969년에는 제8근위차량화보병사단이 중앙아시아 군관구로 이동하여 프룬제에 배치되었다.
3. 2. 사령관

재임 기간 | 이름 | 계급 |
---|---|---|
1940년 | 알렉산드르 록티오노프 | 대장 |
1940년~1941년 | 표도르 쿠즈네초프 | 대장 |
1943년~1945년 | 니콜라이 비아시 | 소장 |
1945년~1954년 | 오바네스 바그라먼 | 육군대장 |
1954년~1958년 |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 육군대장 |
1958년~1959년 | 파벨 바토프 | 육군대장 |
1959년~1963년 | 이오시프 구사코프스키 | 육군대장 |
1963년~1971년 | 게오르기 헤타구로프 | 육군대장 |
1971년~1972년 | 블라디미르 고보로프 | 대장[8] |
1972년~1980년 | 알렉산드르 마요로프 | 대장 |
1980년~1984년 | 스타니슬라프 포스트니코프 | 대장 |
1984년~1987년 | A. V. 베흐테닌 | 대장 |
1987년 | 빅토르 그리신 | 대장 |
1987년~1991년 | 표도르 쿠즈민 | 중장 |
1991년 | 발레리 미로노프 | 중장 |
3. 3. 1980년대 말의 군사력

1980년대 말, 발트 군관구는 상당한 규모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주요 지상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명 | 주둔지 | 비고 |
---|---|---|
제3근위차량화보병사단 | 클라이페다 | 1989년 해안방어사단으로 발트 함대에 이관됨 |
제18근위차량화보병사단 | 칼리닌그라드주 구세프 | 1990년 10월 체코슬로바키아 믈라다볼레슬라프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1991년 3월 완료[9] |
제24전차훈련사단 | 리가 (도벨레로 이전) | 1956년 창설, 1960년 훈련사단으로 개칭. 1987년 9월 14일 제54지구훈련센터가 됨. 1995년 해체[10] |
제107차량화보병사단 | 빌뉴스 | 1993년 솔네치노고르스크로 철수[11] |
제144근위차량화보병사단 | 탈린 | 이전 제29근위보병사단. 1993년 2월 모스크바 군관구 옐냐로 철수 |
제37강습여단 | ||
제149포병사단 | 칼리닌그라드 |
또한 제11근위군 예하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들이 있었다.
부대명 | 주둔지 | 비고 |
---|---|---|
제1전차사단 | 칼리닌그라드 | |
제1근위차량화보병사단 | 칼리닌그라드 | |
제26근위차량화보병사단 | 칼리닌그라드주 구세프 | 1989년 9월 제5190근위무기장비저장기지가 됨 |
제40근위전차사단 | 소베츠크 |
소련 공수부대 소속 부대들도 군관구 내에 주둔했다.
- 제7근위공수사단: 본부는 카우나스 요새에 위치했다.
- 제44훈련공수사단: 가이주나이에 주둔했다.
1980년대 군관구 내 소련 공군 전력은 리가에 본부를 둔 제15공군과 소련 방공군 제2군으로 구성되었다. 1991년 1월 1일 기준 제15공군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12]
부대명 | 주둔지 | 보유 장비 | 비고 |
---|---|---|---|
제79독립통신연대 | 리가 | ||
제249독립혼성항공대대 | 리가 | Mi-8 7대, Mi-6 1대, 수송기 | |
제285독립전자전헬기대대 | 리가 지역 옐가바 | Mi-8 19대 | |
제886독립정찰항공적기훈장 스탈린그라드 연대 | 라트비아 SSR 예카브필스 | Su-24 12대, Su-17M4 14대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16독립정찰항공연대 |
제39전투폭격기항공사단 | 리가 지역 리엘바르데 | 1981년 창설[13] | |
제53근위 스탈린그라드 전투폭격기항공연대 | 리투아니아 SSR 샤울랴이 | MiG-27 35대, MiG-23 11대 | 제39사단 예하 |
제372전투폭격기항공연대 | 라트비아 SSR 다우가프필스 | MiG-27 49대, MiG-23 12대 | 제39사단 예하 |
제899전투폭격기항공연대 | 리가 지역 리엘바르데 | MiG-27 47대, MiG-23 11대 | 제39사단 예하 |
4. 소련 붕괴와 해체
소련 말기의 정치적 격변 속에서 발트 군관구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1991년 소련 해체 과정에서 군관구는 북서부군(Northwestern Group of Forceseng)으로 재편되었으며, 이후 러시아 연방의 지휘 아래로 편입되었다.[14][15] 그러나 발트 3국(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이 독립을 선언하고 주권 회복을 강력히 요구함에 따라 상황은 급변했다. 결국 1994년 9월 1일, 발트 3국 영토 내에 주둔하던 모든 러시아군이 철수하였고, 이에 따라 북서부군도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이는 발트 지역에서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소련 및 러시아의 군사적 영향력이 종식되는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4. 1. 북서부군으로 재편
1991년 9월, 소련의 해체 과정 속에서 발트 군관구는 북서부군(Northwestern Group of Forces)으로 재편되었다. 같은 해 11월 15일, 소련 대통령령에 따라 발트 군관구는 공식적으로 북서부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4]
소련 해체 이후, 1992년 1월 27일 러시아 대통령령에 의해 북서부군은 러시아 연방의 관할 하에 편입되었다.[15] 발트 3국(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의 독립과 주권 회복 요구에 따라, 1994년 9월 1일부로 해당 국가들에서 모든 러시아군이 철수하면서 북서부군은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 러시아는 1998년 8월 31일 라트비아의 스크룬다-1 레이더 기지를 폐쇄하며 발트 지역에서의 군사 주둔을 공식적으로 종료했다.
해체 이후 칼리닌그라드주에 주둔하던 지상군은 제11근위군의 지휘 아래로 편입되었고, 약 4~5년 뒤에는 발트함대 소속 지상·해안방위군으로 재편되었다.
4. 2. 해체 및 러시아군 철수
1991년 9월 발트 군관구는 북서부군으로 재편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15일 소련 대통령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칭되었다.[14] 이후 소련 해체 과정을 거쳐 1992년 1월 27일 러시아 대통령령에 따라 북서부군은 러시아 연방의 관할 하에 들어갔다.[15]
발트 3국(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의 독립과 주권 회복 요구에 따라, 1994년 9월 1일 이들 국가에서 모든 러시아군이 철수하였다. 이에 따라 북서부군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이후 러시아는 1998년 8월 31일 라트비아의 스크룬다-1 레이더 기지를 최종적으로 폐쇄하면서 발트해 연안 국가들에서의 군사적 주둔을 공식적으로 종료했다.
한편, 러시아 영토인 칼리닌그라드 주에 주둔하던 지상군은 제11근위군의 지휘 아래로 편입되었다. 이 부대들은 약 4~5년 후 발트함대 소속의 지상·해안방위군으로 재편되었다.
참조
[1]
간행물
Germany's Eastern Front Allies (2): Baltic Forces
Osprey
[2]
웹사이트
Baltic Special Military District Order of Battle 22 June 1941
http://niehorster.or[...]
[3]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4]
웹사이트
Headquarters of Internal Troops 1941-1951
http://www.soldat.ru[...]
2014-04
[5]
문서
[6]
문서
[7]
서적
The Armed Forces Of The Uss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7-16
[8]
서적
The Armed Forces of the USSR
Westview Press
[9]
웹사이트
18th Guards Motor Rifle Division
http://www.ww2.dk/ne[...]
[10]
문서
[11]
웹인용
107th Motorised Rifle Division
http://www.ww2.dk/ne[...]
[12]
웹인용
OTAN vs Pacto de Varsovia
https://web.archive.[...]
2010-06-01
[13]
웹사이트
39th Aviation Division Fighter-Bomber
http://www.ww2.dk/ne[...]
2013-01
[14]
뉴스
Krasnaya Zvezda 26 Nov 91 First Edition p.1
Krasnaya Zvezda
1991-11-26
[15]
뉴스
Moscow Interfax in English 1418 GMT 28 January 92
Moscow Interfax
1992-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